강화도에는 초등학교 6학년 때 이후 가본 적이 없었다. 그리고 지금의 시각으로 보면 어떤 모습일까가 궁금했다. Lonely planet에서는 여러 가이드북에 과대평가되어 있어 실제로 보면 실망할 가능성이 크지만 서울의 정신없는 모습을 벗어나고 싶은 사람에게는 서울과는 다른 느낌을 줄 것이라는 식으로 설명이 되어 있다. 하여간 넓게 펼쳐진 김포평야를 지나 이곳에 도착했다. 관광안내소가 닫혀 있어 당황했지만 안내하시는 분이 식사하러 가신 듯 한 시간이어서 나도 점심을 먹고 왔더니 와 계셨다. 할아버지셨는 데 설명을 잘 듣고 여행을 시작할 수 있었다.
지구를 걷는 법에서는 별세개로 이곳을 추천하고 있지만 보통 한국 사람이 봐서는 큰 흥미를 느끼기 어려웠다. 역시 재래시장은 외국에서 구경해야 분위기도 팔고 있는 아이템도 신기하게 느껴지는 모양이다.
강화도에 있는 선원 김선생의 순의비이다. 병자호란 때 강화도로 도망온 인조의 삼전도의 치욕을 보고 자살을 한 사람을 기리기 위해 만들어 놓은 비석이라고 한다. 강화도는 단군과 관련된 마니산 참성단이 있는 곳이기도 하지만 역사적으로는 외적이 침입할 때 도망가던 곳으로 아픈 역사를 더 많이 갖고 있는 것 같다.
강화도 출신 인물중 가장 유명한 인물은 조선의 철종일 것 같다. 정조가 젊은 나이에 돌아가시고-개인적으로는 우리 역사의 가장 안타까운 사건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똑똑한 왕의 위협을 느낀 세도가들은 꼭두각시 역할을 할 힘없는 왕가의 후손을 찾아 왕으로 세우게 된다. 그래서 강화도까지 찾아온 모양이다. 원래는 초가집이었지만 철종당시 강화유수가 왕의 생가라고 기와집으로 바꿔주고 왕이 나온 집이라 용흥궁이라는 이름을 붙인 듯 하다. 힘없는 왕이지만 이정도의 아부는 필요했던 모양이다.
강화 성공회 교회의 모습이다. 강화도는 병인양요와 신미양요를 겪고 서양의 문물이 들어온 곳이다. 영국의 선교사가 지은 교회인데 한국건물에 십자가를 얹어놓은 모습이 신기하다.
'인천 그리고 강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6, 강화, 강화 산성 (0) | 2023.06.12 |
---|---|
2006, 강화, 고려궁지 (0) | 2023.06.12 |
2006, 인천, 연안 부두 (0) | 2023.06.12 |
2006, 인천, 월미도 (0) | 2023.06.12 |
2006, 인천, 개항장 (0) | 2023.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