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제를 찾아서

(34)
2009, 부여, 조선시대 관공서 부소산성 아래 쪽에는 조선시대 부여의 관공서 건물이 조금 남아 있다. 사진 속 건물은 부여 객사 그 뒤에 보이는 태극기 꽂힌 건물은 부여문화재 연구소다. 사진을 찍으러 들어갔는데 경비 아저씨가 '연구소 건물 안으로만 들어가지 마세요.'라고 안내해 주었다. 부여객사 옆으로는 부여 동헌이 있다. '동헌'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왜 춘향이를 유혹하던 변사또가 생각나는 걸까? 부소산성의 정문인 사비문의 모습 정림사지로 가는 길에 부여향교 건물을 만났다. 안내판에는 이 건물의 형태가 뭔가 특이하다고 설명이 되어 있는데 향교의 건축양식에 문외한인 나로서는 언뜻 이해가 되지 않았다. 그냥 태극무늬 문이 있으면 향교라는 걸 알 수 있을 뿐.
2009, 부여, 고란사 낙화암 절벽을 내려오면 유람선 선착장 바로 위로 고란사라는 절이 있다. 절의 규모는 크지 않지만 절벽과 강이 어우러져 꽤 멋진 모습을 보여준다. 고란사는 고란초라는 식물 이름에서 왔다고 하는데... 고란사의 2군데 관광 포인트는 삼천궁녀 벽화와 고란정의 약수일 것 같다. 고란사 건물 벽화 앞에 버버리 코트 차림의 관광 가이드가 할머니 할아버지 몇분에게 뭔가 설명을 하고 있는데 가이드가 설명하는 벽화는 삼천 궁녀가 강으로 뛰어드는 모습을 그려놓은 벽화. 설명을 듣고 있는 분들은 유람선을 타고 도착한 일본인 단체 관광객이다. 오른쪽에 지붕이 얹혀진 출입구가 있고 오렌지색 점퍼를 입은 할아버지가 나오시는데 고란정이라는 약수터이다. 백제의 의자왕이 마셨다고 하는 이 약수는 마시면 3년 젋어진다는 전설이 있다. ..
2009, 부여, 부소산성 Part 2 영일루가 떠오르는 해를 바라보는 곳이었다면 사자루는 아름다운 석양과 백마강에 잠기는 달을 보던 곳이라고 한다. 백제에 원군을 보낸 일본은 나당 연합군과의 전투를 백촌강 전투로 기록하고 있다. 그리고 백촌강이 백마강 (지금의 금강)일 것이라고 추정하는 듯 하다. 부여에는 낙화암을 보러 관광객들이 찾아올 것이고 낙화암 위에 있는 정자가 사진 속의 백화정이다. 이 건물은 일제시대였던 1929년 시우회에서 기금을 모아 지었다고 하는데 이런 이야기를 들으면 삼천궁녀 스토리도 후세 문인들이 지어낸 이야기라는 주장에 마음이 기울게 된다. 물론 이런 삐딱한 생각을 떠나 바위 위에 있는 백화정은 꽤 멋지고 백화정에서 바라본 금강은 더 멋지다는 걸 부인할 순 없다. '지구를 걷는 법'에 보면 부소산성에서 2곳의 조망 포인..
2009, 부여, 부소산성 Part 1 공주의 공산성과 마찬가지로 부여의 부소산성도 백제의 유적이기 보다는 조선시대 이후 산성의 모습을 많이 갖추고 있다. 부소산성에서 처음만난 건물인 정려각도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갖고 있다. 백제의 3대 충신이라고 하는 성충, 홍수, 계백 3사람의 신위를 모신 삼충사의 모습이다. 역사속의 의자왕은 퇴폐적인 폭군으로 그려질 때가 많지만 일본이 원군을 보내주고 충신이 최후까지 백제를 사수하는 걸 보면 승자의 역사 속에 패자의 모습이 왜곡되어 진 것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든다. 부소산성에 있는 영일루의 모습이다. 해를 맞이하는 누각이란 뜻인데 백제의 왕은 매일 이곳에서 떠오르는 해를 보며 국정을 구상했다고 한다. 지금은 나무가 우거져 떠오르는 태양을 잘 볼 수 있을 지 모르겠지만 '지구를 걷는 법'에 쓰여있는 것..
2009, 부여 역사적인 도시이지만 지금은 조그만 시골도시라는 소개를 받고 있는 부여를 찾았다. 시외버스터미널은 시골 터미널 분위기라고 가이드북에는 나와있지만 그래도 간판은 바뀌어 깔끔한 모습이었다. Lonely planet에는 부여 사람들이 traditional minded 하다고 표현해 놓았는데 적어도 버스 안에서 본 부여 사람 중에 traditional looking 한 할머니가 많아 과거로 시간여행하는듯한 기분을 안겨 주었다. 부여로 백제의 수도를 옮긴 백제의 성왕의 동상은 부여를 지키고 있다. 백제의 중흥을 이루려고 했고 신라와 동맹하여 한강 하류를 잠시 회복했다가 배신한 신라의 진흥왕에게 빼앗긴 불운한 최후를 맞은 왕인데 적어도 부여에서는 영웅인듯 하다.
2006, 공주, 국립 공주 박물관 무령왕릉에 전시된 유물들은 모두 복제품이고 진품은 국립 공주 박물관에 있다고 한다. 그래서 무령왕릉을 나와 국립 공주박물관으로 향했다. 안내 지도 상으로는 매우 가까운 곳인 데 잘 보이지 않아 무령왕릉 입구에서 표파는 아저씨한테 물어봤다. 나: 여기서 박물관은 어떻게 가죠? 아저씨: 주차장에서 우회전이요. 이 말을 듣고 갔는 데 주차장 옆에 박물관은 보이지 않았다. 주차장 옆길을 쭉 따라서 10여분 걸어가야 하는 거리였는 데 유적 지역이라 길을 돌아가야만 하는 게 좀 귀찮긴 했지만 가는 길에 복원해 놓은 조선시대의 관아건물이 있어서 그래도 발품이 아깝지 않게 해 주었다. 충청도시정사의 건물이 조선시대에 임진왜란을 겪으며 공주로 옮겨왔고 그때 그 내부의 건물로 지어진 건물이 선화당이라고 한다. 지금은 옆에..
2006, 공주, 무령왕릉 Part 2 송산리 고분군에서 가장 높은 곳에 1, 2, 3, 4호분 고분이 있다. 고분들이 몰려서 붙어 있는 모습이 신기하게 느껴졌다. 백제 왕들은 죽어서도 조상들과 함께 하고 싶었던 모양이다. 물론 모두 문은 닫혀있다. 모형관에는 홀로그램으로 만든 모형 영상물이 있어서 백제의 할아버지로 보이는 사람이 구경온 아이들에게 송산리 고분군을 설명하게 되어 있고 이 곳에서 시작을 한다. 언어가 한국어랑 영어는 없이 일본어로만 되어 있는 것이 신기했다. 하긴 한국 백제 옷을 입은 할아버지랑 한국 아이들이 영어로 이야기하면 이상할 것 같기는 하다. 송산리고분 5, 6, 7호분은 모두 굴식 돌방무덤이고 독특한 내부로 유명하다. 불행히 내부는 볼 수 없고 모형관에 있는 모형을 봐야만 한다. 무령왕릉 고분 앞에서 다시 나에게 잘 ..
2006, 공주, 무령왕릉 Part 1 점심을 먹고 무령왕릉으로 향했다. 공산성에서 무령왕릉으로 이어진 길 입구에는 무령왕릉의 벽돌같은 테마의 문이 서 있었다. 그리고 그때까지만 해도 무령왕릉이 1997년 이후 보호를 위해 폐쇄되어 내부를 볼 수 없다는 사실을 잘 모르던 나의 가슴을 들뜨게 했다. 무령왕릉은 송산리 고분군이라고 불리우는 고분들 중 7호 고분이다. 송산리 고분군으로 가는 언덕길의 언덕 아래에는 주택가가 있는 데 이제는 서울에선 보기 힘든 색기와의 단층집들이 정감있게 느껴졌다. 송산리 고분군에 들어서면 모형관이 먼저 보인다. 이때까지만해도 무령왕릉 내부가 일반에 공개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몰랐던 나는 모형 하나 전시하면서 뭐 이렇게 그럴싸하게 만들어 놓았을까라고 생각하면서 고분처럼 만든 모형관에 들어섰다.
2006, 공주, 고마나루 공산성을 구경하니 점심때가 되었다. 공산성 바로 앞에 Lonely planet과 지구를 걷는 법 모두 추천하고 있는 음식점이 있어서 가 봤다. 가이드북 뿐 아니라 각종 TV 여행 프로그램에도 자주 등장했던 모양이다. 웅진은 곰의 나루라는 뜻인 데 곰을 고마라고 불렀던 모양이다. 일본말로는 구마인데. 그리고 일본에서 高麗를 '고마'라고 발음하고 사이타마에 이런 지명이 있다. 단군의 어머니가 원래 곰이어서인지 그 모티브는 백제의 2번째 수도에 까지 남아있는 듯 했다. 그리고 공산성 앞에 있는 음식점의 이름에 까지. 고마나루라는 식당은 제법 손님이 붐비는 식당이었다. 돌솥밥을 시켰는 데 가격은 5천원. 뭐 서울 놀부의 돌솥밥도 가격은 이정도 이니 싸다는 생각은 안 들었다. 그러나 밥이 나오기 전에 깔리는 반찬..
2006, 공주, 공산성 Part 3 공산성 안에는 영은사라는 절이있다. 백제시대의 절은 아니고 조선 세조때 지어진 절이라고 한다. 예로부터 천혜의 요새였던 곳이어서 임진왜란 때는 승병들의 숙소로 사용되었다고 한다. 건물 하나하나의 조형성이 그다지 인상적이지는 않지만 방송으로 틀어놓은 스님의 불경을 읽는 소리, 사진에서는 잘 안보이지만 마당에 널어놓은 고추가 우리나라 아니면 느낄 수 없는 느낌을 주어 좋았다. 영은사의 불전 전면의 벽화는 스토리가 있어서 재밌었다. 맨 오른쪽의 그림은 잘렸지만 소를 찾아 나서 소를 발견하고 그 소를 만나는 부분이 그려져 있다. 사진에 보이는 부분은 오른쪽부터 소를 길들이고 2번째 그림처럼 길들인 소가 점점 흰색으로 변해간다. 세번째 그림은 완전히 흰색으로 변한 소를 타고 있고, 네번째 그림은 그 소를 떠나보내..